코드 카타 최대값과 최소값

코드카타 JadenCase 문자열 만들기

코드카타 이진 변환 반복하기

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처음 프로그래밍 공부를 시작하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부터 학습을 한다.
개발자는 코드만 잘 짜면 되는 거 아닌가? 라고 보통 생각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뿐 아니라 컴퓨터의 근간을 알아야 한다.
문제 해결 능력 과
성능, 용량 , 비용등을 고려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해 진다.
분명 코드를 제대로 작성했는데 왜 동작하지 않는거지? 라고 생각했을때
컴퓨터 자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
해당 동작 원리를 알면 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지 문제를 찾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두가지 정보로는 데이터와 명령어가 있다.
정적인 데이터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기계어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어는 2진수와 16진수로 나타 낼 수 있다.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으로는
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이 있다.
트러블 슈팅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에서 하드코딩된 데이터를 보내 접속 테스트를 하였다.
하지만 서버에서 보낸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전달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듯 하여 우선 서버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로그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에서 대기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바이너리데이터를 직접 확인하고 크기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설마 엔디안 문제일까 하여 해당 비교 사이즈를 확인하는 도중 말도 안되는 크기가 찍혀있는것을 보고 이것은 엔디안 문제가 확실하다 확정이 되어 클라이언트에서 다시 데이터를 뒤집으려다가 서버에서 BE를 LE로 변환하자마자 정상작동 엔딩...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0205-02-06 (0) | 2025.02.06 |
---|---|
TIL_2025-02-05_var , let , const (0) | 2025.02.05 |
2025-02-03_자바스크립트의 메모리 구조 (0) | 2025.02.03 |
Code_kata_js_신고결과받기 (0) | 2025.02.03 |
TIL_2025-01-31 (0) | 2025.01.31 |
댓글